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73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47355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30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프로그래머스의 1~2단계의 문제를 풀어보자!
언어는 파이썬이다.
문제1. 짝지어 제거하기
문제설명:
짝지어 제거하기는,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가지고 시작합니다. 먼저 문자열에서 같은 알파벳이 2개 붙어 있는 짝을 찾습니다. 그다음, 그 둘을 제거한 뒤, 앞뒤로 문자열을 이어 붙입니다. 이 과정을 반복해서 문자열을 모두 제거한다면 짝지어 제거하기가 종료됩니다.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, 짝지어 제거하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 반환하는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 1을, 아닐 경우 0을 리턴해주면 됩니다.
예를 들어, 문자열 S = baabaa 라면
< b aa baa → bb aa → aa → >
의 순서로 문자열을 모두 제거할 수 있으므로 1을 반환합니다.
입력받은 문자열의 첫 문자와 내가 지정한 리스트의 마지막 값을 비교하여 리턴했다.
즉, 스택의 구조를 활용하여 문자열을 순회하면서 리스트에 append, pop 메소드를 활용하여 요소를 추가 및 삭제했다.
이후 for문을 통해 문자열을 다 순회했을 때, 리스트가 비어있으면 1을 반환 아니면 0을 반환하게 했다.
def solution(s):
answer = -1
pair = []
for i in s:
if len(pair) == 0:
pair.append(i)
else:
if pair[-1] == i:
pair.pop()
else:
pair.append(i)
if len(pair) == 0:
answer = 1
else:
answer = 0
return answer
문제2. 이상한 문자 만들기
문제설명:
문자열 s는 한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각 단어는 하나 이상의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 각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,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하세요.
직관적으로 문자열을 띄어쓰기로 split해서 나눈 문자열들을 순회하면서
짝수일 때 upper, 홀수일 때 lower로 만들어줬다.
def solution(s):
answer = ''
s_list = s.split(' ')
for i in s_list:
for j in range(len(i)):
if j % 2 == 0:
answer += i[j].upper()
else:
answer += i[j].lower()
answer += " "
return answer[0:-1]
문제3. 크기가 작은 부분 문자열
문제설명:
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t와 p가 주어질 때, t에서 p와 길이가 같은 부분문자열 중에서, 이 부분문자열이 나타내는 수가 p가 나타내는 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나오는 횟수를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.
예를 들어, t="3141592"이고 p="271" 인 경우, t의 길이가 3인 부분 문자열은 314, 141, 415, 159, 592입니다. 이 문자열이 나타내는 수 중 271보다 작거나 같은 수는 141, 159 2개 입니다.
slice를 이용하여 주어진 문자열 t의 맨 앞부터 p의 길이를 뺀 만큼 접근하고
이를 정수로 바꿔 크기를 비교해주었다.
def solution(t, p):
answer = 0
for i in range(len(t) - len(p) + 1):
if int(t[i:i + len(p)]) <= int(p):
answer += 1
return answer
'Programming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습문제: 다음 큰 숫자 / 월간 코드 챌린지 시즌1: 두 개 뽑아서 더하기 (1) | 2023.07.04 |
---|---|
연습 문제: 최댓값과 최솟값, 푸드 파이트 대회 (1) | 2023.05.22 |
연습문제: 하샤드 수, 콜라츠 추측 / 스택,큐: 올바른 괄호 (2) | 2023.05.05 |
연습 문제: 삼총사 / 스택,큐: 같은 숫자는 싫어 (1) | 2023.04.17 |
코딩 테스트 입문: 치킨 쿠폰 / summer,winter coding: 예산 / 연습문제: 문자열 다루기 기본 (2) | 2023.04.13 |